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 과제번호 2019-12
    • 과제명 [기본] 지역문화공동체적 관점에서 본 마을박물관의 가치 탐색 연구
    • 연구책임자 한상헌
    • 관련부서 기획조정실
    • 진행상태 완료
    • 작성일자 2020년 01월 17일
    • 첨부파일 기본12_a.pdf

연구의 배경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오늘날 도시는 외연적으로 크게 성장했으나, 지역의 공동체가 해체되고, 획일적인 도시 발전 속에서 지역 정체성과 지역문화의 가치가 사라지고 있다.

오늘날 도시 발전 흐름은 과거 외연적 발전을 넘어, 지역 내부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리고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있어 지역 정체성은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지역 정체성은 도시 발전의 역동성과 가능성, 도시의 특성 및 다양성 등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결국 지역정 체성에 기반을 둔 도시 발전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도시발전을 의미하며, 이러한 도시발전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주인의식 및 애향심을 고취 시킬 수 있다.

최근 지역 정체성 확립의 일환으로 지역문화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지역문화 아카이브 구축이 문화원이나 기록원 등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이뤄졌으나, 최근 마을에 대한 관심의 증가1)와 함께 마을의 역사와 문화, 주민의 기억과 흔적 등과 같은 마을 단위의 아카이브 구축이 이뤄지고 있다.

마을박물관은 마을의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자료들이 보관되어 있는 공간으로 주로 마을과 지역 단위로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마을박물관은 주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마을의 역사성을 확보하고, 마을의 특성을 살린 스토리텔링을 통해 마을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을 단위로 설립된 마을박물관은 지역주민들이 모여 소통할 수 있는 공간과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 간의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과 함께, 마을 역사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중심으로 세대 간 소통도 나타날 수 있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마을공동체에 대한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주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마을박물관들이 형성되었으며, 도시지역에서도 마을 만들기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마을박물관 운영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서울역사박물관, 2012). 2012년부터 적극적으로 마을공동체 사업을 실시한 서울시는 현재 이화동마을박물관(2013), 장수마을 마을박물관(2013), 돈의문박물관 마을(2017)을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과 인천 등 다양한 지자체에서도 마을박물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반면, 대전시는 대전광역시 사회적자본 확충조례제정(2013), 대전광역시 사회적자본지원센터 설립(2013), 지역공동체과 신설(2017) 등과 같은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도적 노력을 하고 있으나, 마을박물관의 가치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뤄지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대전·세종으로 지역을 넓혀 살펴봐도 현재 운영되고 있는 마을박물관은 2016년 세종시 조치원읍에 설립된 외딴말박물관이 유일하다.

2013년 설립된 사회적자본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대전시는 다양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을 하였으며, 그 결과 수밋들어울벗, 관저품앗이 등과 같은 성공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2017년 지역공동체과가 신설되면서 마을공동체사업의 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마을공동체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2019년 대전시 마을공동체 사업은 새로운 도약기를 맞이하고 있다. 마을공동체 사업의 새로운 도약 속에서 마을공동체의 외연적 확장을 넘어 마을공동체의 역사를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기록하고, 세대 간 소통의 통로로 마을박물관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을박물관을 통해 지역의 스토리텔링을 훌륭히 구현하여 지역 구성원들 간 에 문화공동체로서 결속력을 높인 일본 도오노 지역의 사례처럼 대전시 또한 마을박물관 운영으로 마을공동체 발전의 새로운 가능성과 전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마을박물관을 통하여 대전시의 지역문화에 대한 아카이브 구축은 물론 지역 정체성 및 지역의 공동체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을 포함하는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