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총 : 347건
-
제5회 교육발전포럼 개최
상세보기지역사회와 고교 및 대학, 교육발전특구와 RISE사업의 연계를 통한 지역발전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전문가들의 담론의 장 '제5회 교육발전포럼'을 아래와 같이 개최하였다.
- 아 래 -
❍ 주 제 : 『교육발전특구!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어떻게 연계할 것인가?(안)』
❍ 일 시 : 2024년 8월 26일(월) 14:00~16:00
❍ 장 소 : 대전세종연구원 대회의실
❍ 주 최 : 대전광역시청·대전교육청
❍ 주 관 : 대전교육발전포럼·대전세종연구원
❍ 참석대상 : 대전광역시청, 대전교육청, TP RISE센터, 대학, 대전세종연구원
- 발표 1 : 직업능력개발원 주휘정 박사 / (주제) RISE와 교육발전특구 연계뱡향
- 발표 2 : 대전TP 임병화 실장 / (주제) 대전형 RISE 추진체계와 추진전략 및 방향
-
지역콘텐츠 대.세.론- 대전·세종지역 콘텐츠 생태게 진단과 전망 -
상세보기대전세종연구원은 콘텐츠문화학회, (사)한국문화예술네트워크와 함께 대전과 세종의 지역 콘텐츠 생태계를 진단하고, 전망하고자 8월 23일(금) 공동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상세 식순은 아래와 같다.
- 아 래 -
일시 : 2024.8.23(금) 13:00~18:00
장소 : 대전콘텐츠기업지원센터 2층 콘라보스퀘어
주제 : 지역콘텐츠 대.세.론 - 대전·세종 지역 콘텐츠 생태계 진단과 전망-
개회사 : 콘텐츠문화학회 회장 이종훈
환영사 : (사)한국문화예술네트워크 이사장 김준권, 대전세종연구원 원장 김영진
축사 : 대전광역시 문화예술관광국장 노기수
사회 : 방성애(콘텐츠기업협회), 이재민 책임연구위원
기조강연 : 대전은 왜 노잼도시가 되었나-성심당의 도시에서 발견하는 '지역적인 것'(주혜진 선임연구위원)
주제발표 1 : "콘잼"도시 대전-대전 콘텐츠 산업현황 및 육성방안(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안상호 단장) / 현장토론
주제발표 2 : 대전 세종권 콘텐츠산업 미래전략(대전세종충청미래전략위원회 심상협 이사) / 토론자 : 노창현 교수(대구대)
주제발표 3 : 신문기사와 실물자료로 본 일제강점기 조치원(PAL문화유산센터 장동우 대표) / 토론자 : 태지호 교수(국립안동대)
종합토론 : 이종훈 교수(국립목포대, 좌장), 윤설민 책임연구위원, 이인복 대표(아신아트컴퍼니), 김민옥 교수(경성대)
-
제1회 대전 K-뷰티산업 혁신포럼 개최
상세보기대전세종연구원과 대전광역시 식의약안전과는 8월 14일(수) 오후 2시 1층 대회의실에서 “대전뷰티산업진흥원의 지역사회연계방안 모색”이란 주제로「제1회 대전 K-뷰티산업 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대전뷰티산업진흥원 설립을 통한 지역사회의 포용성 강화 및 지역문제해결을 위한 플랫폼으로의 전략을 모색하는 자리로, 첫번째 발제를 맡은 대전세종연구원 김은영 연구위원이 ‘대전뷰티산업진흥원 설립의 추진방향과 과제’란 제목으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대전뷰티산업진흥원의 설립배경과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해외 뷰티산업의 트렌드를 분석, 포용성을 강화한 플랫폼으로서의 뷰티산업진흥원의 역할모델을 제시했다.또한 현재 대전뷰티산업진흥원 설립예정지인 서구 도마동의 경우 도시재생지역으로 취약계층인 장애인 및 한부모가정 그리고 다문화가구가 5개구 중 가장 많은 지역으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지역 포용성의 강화가 중요함을 강조했다.발제와 토론을 통해 포럼에서는 대전뷰티산업진흥원이 지역 내 취약계층의 사회안전망 역할과 공공성 확보를 통하여 지역 시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지역사회 연계형 모델이 되어야 하고, 함께하는 뷰티-케어뷰티를 통한 정체성 확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울란바토르시 정책분석연구센터 방문
지난해 연구원과 MOU를 체결한 울란바토르시 정책분석연구센터의 Buyandelger 부원장이 7월 29일(월) 방문하여 향후 공동세미나 개최 일정을 논의하였다.상세보기
-
제5회 교육발전포럼 개최
-
지역콘텐츠 대.세.론- 대전·세종지역 콘텐츠 생태게 진단과 전망 -
-
제1회 대전 K-뷰티산업 혁신포럼 개최
-
울란바토르시 정책분석연구센터 방문
- 담당부서
- 담당자
- 연락처